불면증 있으신 분들 주목! 수면제를 먹지 않아도 바로 깊은 잠 드는 방법

매일밤 잠들기 전 내일의 걱정. 생활패턴 불균형으로 그냥 잠드는 것조차 힘든 분들이 되게 많은 것 같습니다
지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기록된 대한민국 불면증 환자수는 2023년 기준 70만명에 이르는 수준입니다
'불면증의 정의 같은게 있나요?'
불면증의 정의로는 적절한 환경과 잠잘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으나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입니다. 또 정상적인 수면 패턴에 불균형이 생겨도 불면증이 생기는 겨우도 많습니다.
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불면증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매일 같은 시각에 일어나기, 쉽게 말하여 생체 리듬을 맞추는 것입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정상적인 수면 패턴에서 불균형이 생기면 불면증이 생기니 바이오리듬을 맞추는 것만큼 불면증 방지가 되는 것 중에선 가장 최고입니다.
2. 하루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 줄이기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면 무슨 의미가 있나요?' 침대에서 깨어있는 시간이 많아진다면 인간의 뇌에선 침대는 수면의 짝이 아니라 침대는 불면의 짝으로 이어진 조건화 상태가 되기입니다 그러니 오전 시간대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밖에서 활발한 운동을 하거나 취미생활에 투자해 보세요! 실제로 오전에 하는 운동은 수면에도 도움이 됩니다!
3.낮잠은 되도록이면 피하세요!!
낮잠 만큼 수면패턴에 불균형이 생기게 하는 요인이 없습니다!ㅠㅠ
4.매일 아침.점심.저녁을 챙겨 먹기
규칙적인 식사는 생체 리듬을 맞추는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
5.잠을 자기전에 음식 먹지 않기
잠을 자기전에 음식을 먹게 되면 소화기관에서 음식을 소화할려고 활동을 시작하게 되면 수면에 들기 더 힘들어 집니다
6.스트레스 받는 일 조금이라도 줄이기
사람은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몸의 신경전달 물질인 교감신경을 자극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신체를 흥분상태로 만들어 정상적인 수면이 어려워 집니다
7.만약 수면패턴이 심각하게 깨져 있다면?
수면패턴이 심각하게 깨져 있다면 그날은 수면에 들지 말고 다음날 밤 9~10시에 잠에 들고 오전 6시에 일어나 위에서 말한 방법들을 사용해 보세요 그리고 2주동안만 이렇게 생활 한다면 습관화 되어 깨지기 전까진 불면증 증상이 나타나진 않을 겁니다.
이상으로 제가 직접 해보고 불면증 완화에 도움이 된 방법들 입니다 항상 저희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잘 읽으셨다면 구독.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ㅎㅎ
감사합니다~